포항공대 최수석 교수 연구팀, Stretchable 나노 구조 Color 의 Matrix Driving 구현 Advanced Materials Technologies 표지 논문 연구 선정

포항공대 최수석 교수 연구팀, Stretchable 나노 구조 Color 의 Matrix Driving 구현  Advanced Materials Technologies 표지 논문 연구 선정

포스텍 전자전기공학 박사과정 신준혁 (제1저자), 박사과정 남승민, 한상현, 석사과정 박지윤, 권채현 (지도교수: 최수석 교수)으로 구성된 최수석 교수 연구팀은 Intrinsic Stretchable 특성에 의한 직접적인  Color 색의 변화 소자 기술을 기존의 단일소자 연구에서 확장하여 균일한 제어가 가능한 Multi-Pixel 기술로 확장하고 Display 구동이 가능한 Segment 형 Matrix Diving 구현 기술을 최초로 구현하여 융합연구 국제 저널인 Advanced Materials Technologies 의 Inside Back Cover 표지 연구로 선정되어 Online 출간되었고, 12월 21일 공식 출간될 예정이다.

Stretchable 기술은 궁극의 Flexible 기술로, 센서, 반도체, 디스플레이, 전자피부, 암호화, 전자파 제어, 통신, 패션 등의 다양한 응용성 및 기존 기술을 뛰어넘는 가능성으로 전세계적으로 기술적 관심이 최근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Stretchable 기술은 크게 딱딱한 소자를 일정 부분 늘어나게 하는 구조 기반 Stretchable 기술과 자체 연신의 Intrinsic Stretchable 기술로 구분된다. 현재는 대부분 딱딱한 LED 등의 발광체를 일정부분 늘어나게 하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으나, 여러 위치의 Stretchable 동작시의 Uniformity 확보가 난제로 남아 있는 상태이다. 또한, 자체적으로 늘어나는 Intrinsic Stretchable 기술은 단순한 simple 소자 기술 수준에 머물러 있었다. 특히, Stretchable 에 의해 Color 파장을 조절하여 자유로운 색깔변화가 가능한 Stretchable Color 기술인 Mechanochromic 기술은 Intrinsic Stretchable과 Dynamic Color Change 의 특성을 가지고 있으나 단순한 Simple 소자의 한계를 뛰어넘지 못하고 있었다.

이번 연구는 Multi-Pixel 및 Multi-Position과 다양한 Stretchable 환경에서 Stretching Uniformity 분포 변화 특성을 실험 및 이론적으로 설명하고, 이를 다중전기 연신 (Multi-pixels electrically stretchable) 기술을 통해서 Pixel 간의 간섭이 없는 Multi-pixel 의 Stretchable Color 조절 기술을 개발하고, 실제 Display 의 Image Pattern 동작을 증명하는 수십개의 다중소자의 균일제어를 통한 7-Segment Driving Stretchable Color 조절의 동작기술을  최초로 개발 시연 보고하였다. 본 연구는 1개의 Simple 동작 수준의 Intrinsic stretchable color 기술을

Pattern 과 Image 의 Dynamic 동작 조절의 Multi-Pixel 구현 기술로 확장하여, 실제 Application 가능서에 접근하였다는데 연구적 가치가 인정되고 있다.  본 연구는 삼성 미래기술 육성재단의 지원사업과 산업기술 평가원의 Stretchable Display 개발 및 Stretchable 실증 기술 개발사업의 지원으로 연구가 진행되었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