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전기공학과 대학원에서는 수준높은 교육을 위하여 석사 및 박사과정 학생들에게 다양한 교과목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제어 및 전력전자
제어 및 전력전자
정보통신 및 신호처리
정보통신 및 신호처리
컴퓨터
컴퓨터
전자장 및 초고주파
전자장 및 초고주파
반도체 및 양자전자
반도체 및 양자전자
VLSI
VLSI
제어 및 전력전자현대 산업사회의 고도화에 따라 컴퓨터 기술을 이용한 제어 및 시스템 공학의 비중이 점증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학과의 제어공학 분야에서는 국가 산업 발전에 필요한 자동제어 및 자동차 관련 기술개발과 세계무대에 동참할 수 있는 새로운 제어이론의 개발을 목표로 교육 및 연구 프로그램을 개발을 위해 끊임없이 노력하고 있다. 현재 진행되고 있는 주요 연구 분야로는 제어이론(로봇제어, 비선형제어, 강인제어, 지능제어, 적응제어, 최적제어, 전력전자 등), 대규모 분산제어 및 실시간 제어 시스템, PLC 및 VME시스템, 전력용 전자스위치 및 전력보상기, 고출력 AC모터 드라이브, 퍼지 및 신경회로망의 응용, 공정제어, 첨단 차량제어 등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정보통신 및 신호처리정보통신 및 신호처리 분야는 정보통신기술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y)의 핵심으로, 다양한 정보원으로부터 얻은 신호 및 데이터의 압축처리 및 전송 기술 송수신 기술을 연구하는 분야이다. 현재 진행하고 있는 주요 연구 분야로는 5G & Beyond 이동통신, Internet of Things (IoT), Compressive Sensing, Information Theory, Error-Correction Coding, Information Security, 초고화질 TV, Data Compression, 적응신호처리, Color신호처리, Machine Learning 등이 있다.
컴퓨터컴퓨터공학분야는 크게 컴퓨터 설계와 컴퓨터 응용으로 나눌 수 있다. 전자전기공학과의 컴퓨터 응용은 컴퓨터를 이용해 Digital/Analog Hardware나 지능로봇 등의 Real-Time시스템을 구축한다. 컴퓨터 설계 역시 General Purpose High Performance컴퓨터뿐만 아니라 특정 응용에 대해 최적화된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ASIC)의 등장으로 방대한 응용을 가지게 되었다. 현재 진행되고 있는 주요 연구 분야로는 컴퓨터 설계분야는 고성능, 저전력, 실시간, 결함포용성 등을 고려한 분산 컴퓨팅과 관련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연구한다. 컴퓨터 응용분야는 인간의 지각(Perception)과 지능(Intelligence)을 컴퓨터로 구현하는 Machine Intelligence를 중점적으로 연구한다.
전자장 및 초고주파이 분야는 미래사회에서 가장 각광받을 분야 중의 하나로서 정보통신 서비스의 다양화로 인한 새로운 전파환경과 기기가 요구되고 있고, 우주과학, 국방, 환경관련 등 새로운 연구주제가 대두되고 있다. 특히, 이에 관심을 갖는 연구분야로는 초고주파 대역에서 사용되는 소자의 모델링, 각종 회로의 설계 및 제작, 각종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와 위상배열 안테나의 설계 및 제작, 전파가 인체에 미치는 영향, 원격탐사에 사용되는 각종 레이더 시스템 및 데이터 처리기법 연구, Automobile-baseed SAR시스템 개발, 임의의 표적물의 인식 기법 연구, 각종 표적물의 RSC계산을 위한 Code의 개발, 전자파의 Propagation 특성에 관한 연구 등이다.
반도체 및 양자전자반도체 및 양자전자 분야에서는 반도체 재료, 물성, 소자, 회로 및 공정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으며, 이러한 연구를 위해 반도체 소자 제작을 위한 class1000이하의 clean room시설과 반도체 물성 및 전기적 특성을 측정하기 위한 반도체 측정시설을 중심으로 8개의 연구실을 운영하고 있으며, 다양한 회로 및 소자 설계 Software와 측정장비를 갖추어 반도체 관련 기초기술, 설계기술, 응용기술의 교육과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VLSIVLSI(Very Large Scale Intergration) 분야는 새로운 집적회로 칩을 설계하고 제작한 후 그 성능을 측정하는 분야, Soc(System-on Chip) 응용과 설계기법을 연구하고 Soc설계를 자동화하기 위한 분야, 소자나 전송선 모델, 신호보전성 등의 연구분야로 구성된다. 현재 수행하고 있는 연구로는 Gbps DRAM 인터페이스 등의 고속 CMOS 집적회로 설계, PDP 및 LCD신호처리 회로 설계,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기 등의 CMOS아날로그 회로 설계, IP기반 시스템 설계, 전력소모 예측 및 저전력 설계, 공정변화 대응설계, 고속 시뮬레이션 기법, SDRAM버스 채널의 전송선 모델 및 신호보전성 등의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